1. 윈도우 로고 + E 키를 눌러 파일 탐색기를 엽니다.
2. 내 PC를 클릭하고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보통 C:)를 오른쪽 클릭한 다음 속성을 선택합니다.
3. 일반에서 디스크 정리를 클릭합니다. 디스크 정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 공간을 계산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이 작업을 완료하는 데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4. 시스템 파일 정리 버튼을 클릭합니다.
5. 기본으로 체크된 모든 항목의 체크를 푸세요.
6. Windows 업데이트 정리 항목을 체크합니다.
7.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디스크 정리 도구가 WinSxS 폴더 내에서 발견된 모든 임시 파일을 삭제합니다.
저장소 센스로 WinSxS 폴더 크기를 줄이는 방법
저장소 센스 기능으로도 WinSxS 폴더를 정리할 수 있는데요. 아래에 소개한 방법대로 진행해보세요!
1. 윈도우 로고 + I(영문자 아이) 키를 눌러 설정을 엽니다.
2. 시스템을 클릭합니다.
3. 저장소를 클릭합니다.
4. 로컬 디스크 부분에서 임시 파일 항목을 클릭합니다. 임시 파일 항목이 보이지 않으면 더 많은 범주 표시를 클릭하여 찾아보세요.
5. 기본으로 선택된 항목의 체크를 모두 풉니다.
6. Windows 업데이트 정리 항목을 체크합니다.
7. 파일 제거 버튼을 클릭하세요.
이렇게 해서 WinSxS 폴더의 불필요한 파일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습니다.
DISM 명령으로 WinSxS 크기를 줄이기
세 번째 내용은 DISM 명령을 사용하여 WinSxS 폴더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인데요. DISM(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는 윈도우(Windows 이미지를 시스템에 연결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1. 시작 버튼을 클릭하고 명령 프롬프트를 입력한 다음, 검색 결과가 나타나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2. 아래 명령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 WinSxS 폴더의 크기를 줄입니다. dism.exe /online /Cleanup-Image /StartComponentCleanup
3. 명령 실행이 완료되면 아래의 명령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눌러 시스템 업데이트 이후 문제가 발생할 시를 대비하여 보관하고 있던 불필요한 예비 파일을 모두 제거합니다. 이 명령이 완료된 후에는 기존의 모든 서비스 팩 및 업데이트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물론, 명령 실행 이후에 새롭게 설치할 서비스 팩 또는 업데이트의 제거는 문제 없이 가능합니다.
4.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이제 윈도우 탐색기를 열고 여유 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됐는지 확인해보세요.
WinSxS 폴더의 파일을 직접 삭제하는 방법. 주의, 또 주의!
이번에는 최소 2년~4년 전에 다운로드된 오래된 업데이트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방법대로 진행하기 전에 시스템을 이미지 파일 형태로 따로 백업해 두거나 가상 머신이라면 스냅샷을 생성하시고요. 업무용 컴퓨터나 메인으로 사용하는 주 컴퓨터에는 이 방법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WinSxS에서 파일과 폴더를 삭제한 후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 환경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윈도우 로고 + E 키를 눌러 윈도우 탐색기를 엽니다.
2. C:\Windows로 이동한 다음 WinSxS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3. 보안 탭을 클릭한 다음 고급 버튼을 클릭하여 고급 보안 설정 창을 엽니다.
4. ‘소유자: TrustedInstaller’의 오른쪽 옆에 위치한 변경 링크를 클릭합니다.
5. 윈도우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관리자 그룹의 계정 아이디(MS 계정 사용 중이라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름 확인 버튼을 클릭한 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6. 다시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고급 보안 설정 창을 닫습니다. 역시나 확인 버튼을 한 번 더 클릭하여 WinSxS 속성 창도 닫습니다.
7. WinSxS 폴더를 오른쪽 클릭한 다음 속성을 선택하여 다시 WinSxS 폴더의 속성 창을 엽니다.
8. 속성 창에서 편집 버튼을 클릭한 다음 사용 권한 창이 열리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윈도우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관리자 그룹의 계정 아이디(MS 계정 사용 중이라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름 확인 버튼을 클릭한 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9. 방금 전에 추가한 로그인 할 때 사용하는 계정을 선택하고 모든 권한 옆에 있는 허용 부분의 체크 박스를 체크합니다.
10. 시스템 폴더의 사용 권한 설정을 변경할지 묻는 창이 뜨면 예를 클릭해주세요. 마지막으로 적용을 클릭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열려 있는 모든 창을 닫습니다.
11. 이제 오래된 업데이트 파일을 삭제합니다. 제 경우에는 2016년 ~ 2018년 사이에 다운로드된 모든 파일을 삭제하여 10GB 정도의 여유 공간을 확보했습니다.
윈도우 10의 다이어트를 응원하며
글에서 소개한 방법대로 진행하여 WinSxS 폴더의 크기와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WinSxS 폴더에서 오래되거나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할 수도 있고요. 단, 향후 새롭게 나올 업데이트를 설치하다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폴더 크기가 다시 커지게 되는데요. 윈도우 10에 자체적으로 폴더 크기를 자동으로 줄이는 기능이 있다고는 하지만, 생각 보다 잘 작동하지 않는 듯한 인상을 줄 때가 많죠. 글에 나온 내용을 필요할 때마다 적용하시면 WinSxS 폴더 크기를 항상 최소 크기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뚱뚱한 윈도우 10이 스스로 능숙하게 다이어트하는 날이 빨리 오기를 마음속으로 바라봅니다! 😁
2. 설치 첫번째 화면 입니다. 언어선택 화면 입니다.
한국어가 없으니 영어(English) 를 선택한 후 [Let’s go!] 를 클릭.
3. 설치 두번째 화면 입니다.
ERROR 부분의 메시지를 해석해 보면 PHP 설정 중 register_globals 옵션이 켜져 있어 보안상 위험하다는 메시지네요.
일단 알겠으니 참고만 하고 넘어 갑니다. [Next step] 클릭.
4. 설치 세번째 화면 입니다. 폴더의 권한을 체크하는 부분 입니다.
폴더의 권한이 없을 경우에는 707 또는 777 권한을 주면 되겠습니다.
권한 체크가 완료 되면 [Next step] 클릭.
5. 설치 네번째 화면 입니다.
서버에 설치된 이미지 패키지는 체크하는 화면이네요.
CAFE24 에는 GD 라이브러리와 ImageMagick 과 설치되어있네요.
기본 선택 상태로 넘어갑니다. [Next step] 클릭.
6. 설치 다섯번째 화면 입니다.
이미지 가공을 테스트 해보는 것 같습니다. 다 정상적으로 보이면 넘어갑니다. [Next step] 클릭.
7. 설치 여섯번째 화면 입니다. MySQL 계정을 입력하는 단계 입니다.
자신의 웹서버 MySQL 정보를 입력하고 [Test connection] 을 클릭.
아래 메시지가 보이면 [Next step] 클릭하여 다음으로.
8. 설치 일곱번째 화면 입니다. DB 선택 화면 입니다.
기존 DB를 선택하거나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새 DB 생성은 위 7번 설명에서 입력한 MySQL 계정에 DB 생성 권한이 있어야 하겠네요.
그리고, 테이블명 앞에 붙일 Prefix 를 입력한 후 [Populate database] 를 클릭.
9. 여덟번째 과정 입니다. 앞에서 선택한 DB에 테이블이 쭉 생성이 되었네요.
확인했으면 [Next step] 클릭.
10. 설치 아홉번째 과정 입니다. 갤러리에서 사용할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입니다.
이 계정이 사용자계정이자 관리자계정이 되는 것 같으니 어려운 패스워드로 잘 입력합니다.
다 했으면 [Next step] 클릭.
11. 축하합니다. 아무 탈 없이 설치가 완료 됐습니다.
* 사용방법
1. 설치가 끝나고 처음 갤러리에 들어오면 이미지가 없어 휑한 느낌 입니다.
상단에 Login 버튼을 눌러 로그인 한 뒤 이미지를 올려보겠습니다.
2. 로그인 후 Upload file 을 클릭하면 앨범이 없다고 Error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당황하지 않고 “Create / order my albums” 를 눌러 앨범을 만들어 봅니다.
3. [New album] 을 누르면 앨범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보이고,
앨범 이름을 입력한 뒤 [OK] 버튼을 누르면 앨범이 생성 됩니다.
4. 앨범 생성이 완료 되었으면, Upload file 을 다시 눌러봅니다.
아까와는 다른 화면이 나오며 업로드 할 앨범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Browse] 버튼을 누르면 파일선택창이 보이고
여러개의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누르는 순간 업로드가 자동으로 됩니다.
위의 화면은 최초 실행 후 원하는 mp3 파일들을 불러들인 화면이다. 위의 스크린샷에서도 볼 수 있다시피 노래 제목들의 글자가 다 깨져서 읽을 수가 없는 상황이다. 한글 윈도우에서는 mp3 파일들의 태그들을 모두 cp-949 한글 인코딩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영문 윈도우 혹은 다른 언어권 윈도우에서는 읽을 수가 없게 된다. 이럴 때 아래의 그림과 같이 Actions (Quick) 메뉴를 선택한다.
그렇게 하면 아래와 같이 액션 타입을 선택하는 옵션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Convert Codepage 옵션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다음에는 실제로 어느 필드를 변환할 것인지에 대해 아래와 같이 물어본다. 여기서는 Title 필드를 Koean - 한국어 (949)로 선택한다.
그 다음에는 선택한 모든 파일들이 원하는 인코딩으로 바뀌면서 한글을 읽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여전히 mp3 파일에 방금 변환했던 결과가 반영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옵션을 세팅한다면 모든 깨진 한국어 제목들이 더이상 깨지지 않고 나타난다.
이렇게 옵션을 저장한 후 위의 맨 왼쪽에 있는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작업은 끝이다. 이렇게 해서 변환시킨 mp3 파일들은 이제 멀쩡하게 보일 것이다. 참쉽죠?
-f 는 yml 파일 경로를 지정하여 해당 yml파일을 실행하도록 합니다.(default는 docker-compose.yml 이고, 이 경우 따로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1b7d82a59165 redis:alpine "docker-entrypoint.s…"3 seconds ago Up 2 seconds 0.0.0.0:6379->6379/tcp redis_bo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