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략)
…
update-alternatives: using /usr/lib/jvm/java-11-openjdk-amd64/bin/unpack200 to provide /usr/bin/unpack200 (unpack200) in auto mode
update-alternatives: using /usr/lib/jvm/java-11-openjdk-amd64/lib/jexec to provide /usr/bin/jexec (jexec) in auto mode
Setting up libxdmcp-dev:amd64 (1:1.1.3-0ubuntu1) …
Setting up x11proto-core-dev (2019.2-1ubuntu1) …
Setting up libxcb1-dev:amd64 (1.14-2) …
Setting up libx11-dev:amd64 (2:1.6.9-2ubuntu1.2) …
Setting up libxt-dev:amd64 (1:1.1.5-1) …
1-3. JAVA_HOME 설정
> 현재 java -version으로 버전 확인 시 설치한 자바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변경이 필요하다.
root@master:/home/src# java -version
openjdk version “1.8.0_292”
OpenJDK Runtime Environment (build 1.8.0_292-8u292-b10-0ubuntu1~20.04-b10)
OpenJDK 64-Bit Server VM (build 25.292-b10, mixed mode)
1-4. 소스 Build
> 이제 소스와 컴파일 할 JDK와 maven도 준비되었기 때문에 Compile을 해보도록 하자
소스 경로에 들어가 압축을 풀고 아래와 같이 빌드를 진행해준다.
빌드 전에 잠시 소스 수정이 필요하다. pom.xml에 mysql 연동 부분에 localhost:3306을 mysql-petclinic:3306으로 수정하자. was와 db가 다른 컨테이너로 기동되기 때문에 localhost를 인식할 수 없다. 그러나 mysql-petclinic은 컨테이너 명으로 link가 걸려 통신이 가능하다..
root@master:/home/src/spring-framework-for-petclinic/spring-framework-for-petclinic# mvn clean package -Dmaven.test.skip=true -P MySQL
…(중략)
[INFO] ————————————————————————
[INFO] BUILD SUCCESS
[INFO] ————————————————————————
[INFO] Total time: 16.802 s
[INFO] Finished at: 2021-11-07T13:54:37+09:00
[INFO] ————————————————————————
========================================================================= 빌드를 하고 나면, 소스 경로 하위의 target 디렉토리에 petclinic.war 소스 파일이 생성된다.
root@master:/home/src/spring-framework-for-petclinic/spring-framework-for-petclinic/target# ls -arlt|grep petclinic.war
-rw-r–r– 1 root root 41605349 11월 7 13:54 petclinic.war
1-5. WAS 이미지 생성
> 이제 만든 소스를 활용하여 tomcat 이미지를 만들어보도록 하자.
우선 이미지 생성을 위해 Dockerfile을 생성하고 이전에 만들었던 petclinic.war 파일을 같은 디렉토리에 위치시킨다.
root@master:/home/dockerfile/petclinic# pwd
/home/dockerfile/petclinic
root@master:/home/dockerfile/petclinic# ls -arlt
total 40644
drwxr-xr-x 5 root root 4096 11월 7 14:06 ..
-rw-r–r– 1 root root 41605349 11월 7 14:06 petclinic.war
-rw-r–r– 1 root root 64 11월 7 14:06 Dockerfile
drwxr-xr-x 2 root root 4096 11월 7 14:06 .
하기는 Dockerfile 내용이다.
root@master:/home/dockerfile/petclinic# cat Dockerfile
From tomcat:8-jre8
ADD petclinic.war /usr/local/tomcat/webapps/
> tomcat 컨테이너에서 mysql 컨테이너의 ip로 접속할 수 있겠지만, static ip가 아니기 때문에 mysql 컨테이너의 이름으로 접속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럴 경우 link 옵션을 통해 컨테이너를 구동하면 tomcat 컨테이너에서 mysql 컨테이너로 이름으로 접속할 수 있다. link 옵션으로 구동하면 톰캣 컨테이너 안의 /etc/hosts에 링크된 mysql 컨테이너 hostname과 ip가 들어간다.
$ kubectl apply -f deploy/kubernetes/
clusterrole.rbac.authorization.k8s.io/system:aggregated-metrics-reader created
cluster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metrics-server:system:auth-delegator created
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metrics-server-auth-reader created
apiservice.apiregistration.k8s.io/v1beta1.metrics.k8s.io created
serviceaccount/metrics-server created
deployment.apps/metrics-server created
service/metrics-server created
clusterrole.rbac.authorization.k8s.io/system:metrics-server created
clusterrolebinding.rbac.authorization.k8s.io/system:metrics-server created
중간에 metrics.k8s.io라는 API가 생성되어 Api server에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ubectl apply -f autoscaler.yaml
horizontalpodautoscaler.autoscaling/php-apache created
hpa커맨드를 통해 현재 hpa에 감지되는 시스템 부하정도와 관리하는 pod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ubectl get hpa
NAME REFERENCE TARGETS MINPODS MAXPODS REPLICAS AGE
php-apache Deployment/php-apache 0%/50% 1 10 1 18s
아직은 서버로 어떠한 요청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cpu소비량은 0%임을 알 수 있습니다. (TARGET은 deployment에 의해 제어되는 pod들의 평균을 뜻합니다.)
부하테스트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오토스케일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창을 하나 더 띄워서 php-apache 서비스에 무한루프 쿼리를 전송합니다.
$ kubectl run -it--rm load-generator --image=busybox /bin/sh
If you don't see a command prompt, try pressing enter.
/ #
/ # while true; do wget -q -O- http://php-apache.default.svc.cluster.local; done
OK!OK!OK!OK!OK!OK!OK!OK!OK!OK!OK!OK!OK!OK!OK!OK!OK!OK!...
1~2분 지난 뒤에 hpa커맨드로 부하상태를 살펴보면 TARGET의 수치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ubectl get hpa
NAME REFERENCE TARGETS MINPODS MAXPODS REPLICAS AGE
php-apache Deployment/php-apache 248%/50% 1 10 1 9m7s
그리고 deployment 컨트롤러를 확인해보면 pod의 replica수가 5개까지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ubectl get deploy php-apache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php-apache 5/5 5 5 12m
busybox컨테이너를 띄운 터미널에서 Ctrl+C로 부하 발생을 중단시키고, 몇 분 후에 결과를 확인합니다.
$ kubectl get hpa
NAME REFERENCE TARGETS MINPODS MAXPODS REPLICAS AGE
php-apache Deployment/php-apache 0%/50% 1 10 5 11m
cpu의 사용량이 0%까지 떨어졌고, deployment의 pod replica수도 1개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ubectl get deploy php-apache
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
php-apache 1/1 1 1 19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