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CIDR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는 간혹 ‘1.1.1.1/32’와 같은 형태로 표기됩니다. 앞부분인 1.1.1.1이 IP인것은 알겠는데 /32이 무엇을 의미 하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32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IP는 마침표로 구분되는 4개의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의 영역을 옥텟이라고 부르며 1개의 옥텟에 1byte의 크기를 가집니다. 0~255까지 표현이 가능하며 총 4byte(32bit)의 크기를 가집니다.

이러한 구성의 가진 IP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Net ID와 Host ID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Net ID는 네트워크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값이며 Host ID는 하나의 네트워크 영역에서 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값입니다.

위에 그림처럼 Net ID는 좌측 비트부터 사용하게 되는데 옥텟과 마침표만 을 사용하면 어디까지가 Net ID이고 Host ID인지 알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때문에 보편적으로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의 유연성있는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을 이용하여 표현합니다.

Subnet mask 표기법 -> 1.1.1.1 (255.255.255.255)
CIDR(prefix) 표기법 -> 1.1.1.1/32

위에서 표현한 1.1.1.1/32는 좌측부터 32비트가 전부 Net ID라는 뜻이며 1.1.1.1은 하나의 호스트 IP를 나타냅니다.
만약 1.1.1.0/24와 같이 표현된다면 좌측에서 부터 24비트, 즉 1.1.1까지는 Net ID라는 뜻이며 1.1.1.0 ~ 1.1.1.255가 1.1.1.0대역 네트워크에서 보유한 호스트 들이 됩니다.

해당 내용을 이용하여 방화벽을 설정할 경우 1.1.1.0/24로 설정하여 1.1.1.0~1.1.1.255에 해당 하는 256개의 ip를 CIDR표현식 한 줄로 설정할 수 있게 됩니다.